2024,March 29,Friday

베트남 인프라 프로젝트 총람 (제2편 전력 분야)

산이 안보이는 베트남이 수력발전 강국?
베트남에 화력발전소가 많은 이유?
냐짱갈 때 보이는 풍력발전소의 비밀?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는 과연 무엇일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사회간접자본인 ‘인프라’의 차이다.
국토가 긴 베트남은 동일선상의 한국보다 인프라의 구축 효과에서 차이가 매우 크다. 한국 같은 경우 국토의 협소함으로 인해 국토를 가로지르는 간선(幹線) 인프라 구축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이로 인해 인프라 종류에 관련 없이 인프라의 경제적 효과가 전국적으로 빨리 나타난다.그러나 베트남은 다르다. 국토 길이도 2000킬로 미터가 넘는다는 점을 주목 해야 한다. 국토가 크다는 점은 인프라 구축비용에 거리로 인해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며, 비용 대비 인프라의 혜택을 보는 인구가 적을 수 있다. 즉 베트남은 한국처럼 처음부터 전국을 커버하는 간선체계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모든 걸 올인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베트남의 인프라의 보급율은 전반적으로 매우 느린편이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전력보급을 완료한 한국과는 달리 베트남의 전력보급율은 2020년경 완료될 예정이다.
후진국이건 선진국이건 경제성장은 인프라 확충으로 보아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인프라가 사람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러한 측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은 인프라 확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국가 중 하나다.
특히 전력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인해 세계 인프라시장의 새로운 별로 떠오르고 있는 베트남.
이번호 스페셜 리포트도 저번호에 이어 베트남의 인프라, 특히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를 살펴보자.

 

user image

전력 인프라 (발전소)

전기는 현대문명의 기반이자, 모든 경제활동의 원천이다. 원천적으로 전기가 없으면 농업을 제외한 거의 모든 경제적 활동이 불가능해지며, 농업도 전기가 없으면 생산량을 늘리지 못하여, 농부의 수입에 영향이 가기 때문에 전기는 경제개발의 씨앗이다.
한국도 경제개발 초기에는 교통 인프라 보다는 전력생산량을 늘리는 데에 총력을 다했다. 이러한 점은 베트남도 마찬가지다. 왜냐면 빠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산업생산량을 늘려야 하며, 이를 위해 전력생산량의 증가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력 인프라 분야는 외국업체의 진출이 활발하며, 외국정부 및 국제기관의 ODA(원조) 및 베트남 정부의 국비가 적극적으로 투입이 되고 있어, 타 인프라 프로젝트와 달리 공사 진척도가 매우 빠른 편이다.

베트남 전력인프라 특징
경제 발전초기에는 기술 부족 및 자금 부족으로 인해 가성비가 높은 방식의 인프라 구축을 추구하는 점이 특징이다. 한국도 경제발전 초기 전력발전용량 증대를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수력 중심으로 인프라 구축을 시작했다. 이후 1970년경 수력이 한계점에 도달하자, 설비투자가 용이하며, 단기건축이 가능한 화력으로 전환하고, 70년대 말 부터 원자력발전을 도입하여 전력발전의 다변화를 이루었다. 베트남도 한국이 취했던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전력인프라 증강을 꾀하고 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에 의하면 베트남의 연간 전력발전 설비용량(capa)은 4만2762MW로 추정된다(2016년 기준, 수입량 포함).
베트남 전력공사에 따르면 2010~2015년 연간 베트남 전력판매량 증가율은 연간 10% 이상을 기록하여 이러한 전력 수요증가는 일각에서 공급량 부족으로 인해 2020년 이 전에 전력 부족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정도였으나, 이러한 우려는 전기 보급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보급율이 100%를 돌파하는 2020년 이후로는 증가세가 주춤하게 될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수요의 증가가 높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예비 전력 확보를 위해 베트남 정부는 2025년까지 화력발전 비중을 64.9%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통해 발전용량 향상을 꾀하고 있다.

 

수력발전

수력발전은 베트남 전력생산량의 약 42.1%를 차지하는 최대 전력생산원이다. 2012년 통계에 의하면 현재 베트남에는 약 400개 이상의 수력발전소가 있으며, 이 중 약 30개 정도가 대규모의 수력발전소로 이들은 연간 총합 52.8TW의 전력을 생산 중이다.
베트남이 수력발전 강국이 된 이유는, 지형상 중부 및 북부 산악지대에 대규모 유량의 강이 있다는 점과 건설비는 많이 들지만 한번 가동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발전설비 증강이 쉽다는 점, 그리고 식수문제 및 공업용수 문제 해결 등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적절하다는 점으로 보인다.

 

주요 수력발전 프로젝트 소개

Da Nhim 수력발전소 확장공사

개요 달랏지역의 용수공급용으로 쓰이는 Da Nhim댐 확장공사다. 완성 시 약 연간 100만 킬로와트의 전력 생산 증대가 기대된다.
예산 952억VND / 일일전력생산규모 80MW
완공일 2018년 2분기 상업운영 개시, 현재 시험운영 진행중
위치 Lam Son commune, Ninh Son Dist, Ninh Thuan province

Huoi Quang 수력발전소 프로젝트

개요 베트남 최초의 자국 기술로 건설한 수력발전소다. 길이 4.2km, 두께 7.5m 내부 터널을 갖추어 발전소를 지하화 했으며 Da 강 유역 최대 댐이다.전력생산과 더불어 홍강 삼각주 지역의 홍수통제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예산 1조 7천7백30억 VND소요 / 일일전력생산규모 500MW
완공일 2016년 06월 상업운행 개시
위치 저수조 및 댐 Than Uyen District, Lai Chau Province.
발전소 Muong La District, Son La Province

Trung Son 수력발전소

개요 세계은행의 80%지원으로 건설된 Trung Son수력발전소는 홍수조절 및 기후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탄소배출을 최소화 하면서 건설된 베트남 최초의 친환경 댐이다.
예산 미화 4억 1천 2백만 달러
일일전력생산규모 260MW / 완공일 2017년 12월 완공

건설 중 혹은 계획중인 수력발전 프로젝트
• Bo Lam 3 – 46MW급 수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Pc Ma – 140MW급 수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Thng Kon Tum – 110X2개 MW급 수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Nm Pan 5 – 35MW급 수력발전소, 2020년 완공예정
• Nam Mo – 95MW급 수력발전소, 2020년 완공예정
• Ialy – 360MW급 수력발전소 확장공사, 2020년 완공예정

 

화력발전

석탄 및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원료를 이용하는 기력발전, 내연력발전, 가스터빈발전을 총칭한다. 베트남에서는 수력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17년 현재 전 세계의 화력발전은 대부분 석탄을 태워 발전한다. 석유는 유가 때문에 소규모 발전에 주로 사용되며, 베트남은 주로 동해(남중국해)에서 채취되는 천연가스를 남부지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16년 발표한 베트남 제7차 전력개발계획에 따라 화력발전에 의한 전기생산량 비중을 34.4%(2015년) → 49.3%(2020년) → 55%(2025년) → 53.2%(2030년)로 증가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약 70기의 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중이며. 발전용량은 현재 약 1만 3000MW에서 2030년 5만 5300MW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환경 오염문제로 인한 대기오염 등의 문제제기가 있으나, 제한된 면적에서 최대의 발전효과를 낸다는 점과 설치가 가장 용이하고 건설비가 적다는 장점으로 인해 국내 외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력 분야 중 가장 활발한 확충이 예정되어 있다.

 

주요 화력발전 프로젝트 소개

Thai Binh 화력발전소 Project 1,2
(2호 한국 업체 대림그룹 주도 건설 중)

개요 Thai Binh화력발전소는 기존의 응축기술과 준임계압력 보일러를 연계한 기술을 활용하여, 매연배출을 낮추어 국제기준치의 환경 규정을 준수하는 발전소다.
특히 수력발전소의 운영이 어려운 건기때는 Thai Binh화력발전소 전력 생산이 중요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예산 미화 10억 2천 7백만 달러
일일전력생산규모 600MW
완공일 2018년 2분기 내 완공예정
위치 My Loc Commune, Thai Thuy District, Thai Binh Province

Mong Duong 화력발전소 1,2호
(현대, 두산중공업 주도 건설)

개요 중국국경 Quảng Ninh성에 북부지역 전력공급용으로 건설한 화력발전소, 건설예산의 40%를 한국 수출입 은행에서 투자했으며,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주도로 건설됐다.
예산 미화 20억 달러
일일전력생산규모 12320MW
완공일 2015년 03월 상업운영시작
위치 Mông Dương ward, Cẩm Phả city, Quảng Ninh province

Vinh Tan 4 화력발전소
(두산중공업 참가 중)

개요 남부 Binh Thuan성에 위치한 Vinh Tan 4 화력발전소는 베트남에서 최초로 Supper Critical Parameters를 사용한 화력발전소다. 이 기술은 기존의 응축기술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을 보여주는 기술이다.
예산 미화 27억 달러
일일전력생산규모 1200MW
완공일 2018년 6월 상업운영 시작
위치 Vinh Tan Commune, Tuy Phong District, Binh Thuan Province

건설 중 혹은 계획중인 화력발전 프로젝트
• Thung Long 2 – 300MW급 화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Long Phu – 600MW급 화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Hu River – 1200MW급 화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Song Hau1,2,3 – 3200MW급 초대형 화력발전소단지, 2019년 1단계 완공예정, 2단계 2021년 완공계정 (Song Hau3, 한국전력주도 타당성 조사 진행중)
• Duyen Hi 3 – 660MW급 화력발전소, 2019년 완공예정
• O Mon 3 – 750MW급 가스터빈화력발전소, 2020년 완공예정
• Quang Trach – 2400MW급 화력발전소 단지, 2021년 완공예정 (포스코 참가의사 타진)
• Nam Dinh 1,2 – 1200MW급 화력발전소 단지, 2021년 완공예정(태광파워홀딩스 참여)

 

신재생에너지 발전

베트남 정부는 2016년 ‘제7차 베트남전력개발계획’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전체 대비 21%로 설정했다. 이는 이전 2011년 계획했던 9.4%보다 대폭 상승한 것으로써 실제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나, 베트남 정부가 과거와 달리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개발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베트남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합한 기후조건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바람이 많은 기후조건으로 인해, 연간 53만 메가와트 수준의 풍력발전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며, 태양이 강한 환경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 적합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프로젝트는 주로 다풍다양(多風多陽)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토지가 많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건설이 쉽고, 단기간내 완공이 가능한 태양열 발전을 중심으로 많은 계획이 준비되어 있다.

 

태양열 발전 프로젝트

Thien Tan 1 태양열 발전소

개요 국가계획에 따른 베트남 최초의 태양열 발전소 공사, Thien Tan Group이 주도중이며, 1400헥타르 부지에 약 50메가와트 전력생산을 하는 발전소 5개 건설을 목표로 한다.
(태양열은 기존의 발전방식처럼 태양의 열을 받아서,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방식이며, 태양광은 광기전효과 라는 미시 단계의 물리적 변환을 이용하여 전지모율을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2017년 첫 발전소 운영을 시작했으며, 2019년 완공을 목표로 2번째 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예산 20억달러 (추정치)
일일전력생산규모 현재 19MW, 프로젝트 최종완성시 300MW
완공일 2017년 1단계 운영시작, 2030년 최종 완공예정
위치 Phuoc Trung commune, Bac Ai district, Ninh Thuan province

풍력발전 프로젝트

Trung Nam Wind Power Plant

개요 유명 건설회사인 Trung Nam Group의 주관으로 프로젝트가 진행중인 베트남 3번째 풍력발전소.
예산 미화 37억달러
일일전력생산규모 90MW
완공일 2019년 완공예정
위치 Bac Phong commune, Thuan Bac District, Ninh Thuan province

Soc Trang Offshore Windfarm

개요 건설, 관광전문 Cong Ly사에서 건설한 베트남 최초의 해상풍력발전소, 현재 1단계 공사는 2012년완공하여 가동중이며, 현재 2단계 공사가 진행중이다.
예산 미화 4억달러(추정치)
일일전력생산규모 99MW
완공일 2012년 1차 완성, 2019년 2차 완성예정
위치 Bac Lieu Province

건설 중 혹은 계획중인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
• Binh Dinh – 100MW급 풍력, 태양열 혼합 발전소, 공사진행중, 2020년 최종완공예정
• Dau Tieng 1&2 – 200MW급 태양열 발전소, 18/7/9 건설계약체결, 2019년 2분기 완공예정
• Krong Pa – 49MW급 태양열발전소, 18/3/6 EPC(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계약) 체결, 19년 2분기 완공예정
• Dong Nai 5 – 15MW급 수상태양열 발전소, 18/6/8 VinaComin사 투자계획발표
• Dohwa power solar project – 49.5MW급 태양열발전소, 현재 Quang Binh성 계획안에 포함, 2019년 완공예정 (한국 도화그룹 주도 프로젝트)
• Tinh Bien 1,2,3,4,- 201MW급 태양광발전소, 현재 투자 유치중, 2021년 완공예정
• Dong Hai- 300MW급 태양열발전소, 계획검토중, 2019년 건설시작 예정 (한국 SY그룹 주도)
• Ha Tinh – 50MW급 태양광발전소, 2018년내 건설시작 예정
• Cam Ranh – 50MW급 수상태양열발전소, 2017년 11월 Khanh Hoa성 당국 프로젝트 투자계획 승인
• Long Son – 200MW급 태양열발전소, 2017년 11월 Khanh Hoa성 당국 프로젝트 투자계획 승인

 

총평

현재 베트남 정부는 외국투자 와 적극적인 국비투입을 통해 늘어나고 있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한계로 인하여 당장 빠르고, 면적대비 발전량이 높은 화력발전소를 중심으로 전력공급 확중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베트남 전력시장은 국내에서 한계에 봉착한 한국기업에게 기회가 될 수 있는 분야다. 특히 베트남도 한국처럼 석탄화력발전소를 확충하려고 한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베트남 정부의 야심찬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분야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현재 5%정도인 이 분야의 발전 비중을 21%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터라 솔라패널 업체 및 친환경 스타트업 등 관련업체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베트남 전력시장은 정부가 열성적이며, 외국기업의 참여가 활발한 시장이다. 내수시장이 좁은 한국업체에게 새로운 시장으로 등장할 수 있다.
(한성훈 : kosdaq62@gmail.com)

 

참고 자료
Kotra(2018) 베트남 전력시장 현황 및 특징
에너지경제연구원(2017) 베트남 전력수급 현황과 전원개발 계획 / 수은해외경제(2012) 베트남 전력산업의 최근 동향과 진출방안 / EVN https://en.evn.com.vn/c3/pages-t/Generation-Projects-6-167.aspx
Source Watch https://www.sourcewatch.org/
Energy Vietnam http://nangluongvietnam.vn/news/en/hom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