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폭탄, 베트남 수출 ‘빨간불’…..섬유·전자·기계 직격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본 관세와 함께 개별 국가에 부과되는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함에 따라 대(對)미국 수출에 의존해 온 베트남의 주력 산업은 물론 경제 전반에도 큰 충격이 가해질 전망이라고 인사이드비나지가 4일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모든 수입품에 기본 관세 10%를 부과하고, 한국(25%)과 베트남(46%) 등 지난해 대미 무역 흑자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60여개국에는 징벌적 성격의 개별 관세인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는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베트남에 부과되는 상호 관세는 캄보디아(49%)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외 주요국 중에서는 한국이 25%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인도 26%, 일본 24% 등이다.

동남아에서는 태국 36%,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필리핀 17%, 싱가포르 10% 관세가 각각 부과된다.

백악관 성명에 따르면 모든 국가에 부과되는 10% 보편 관세는 오는 5일, 무역 적자에 따라 개별 관세가 부과된 국가는 9일부터 새로운 관세 정책이 적용될 예정이다.

베트남으로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응할 시간이 불과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베트남 전체 수출의 약 30%를 차지한 최대 수출시장으로, 앞서 발표된 46% 관세율이 적용된다면 섬유와 신발, 가구, 전자부품과 수산물 등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 대부분이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베트남 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수출액은 전년대비 23.2% 증가한 1195억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29.5%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미 수출액 10억달러 이상 품목은 모두 15개로 ▲컴퓨터·전자제품 및 예비부품 232억달러 ▲기계·장비·기타부품류 220억달러 ▲섬유의류 162억달러 ▲휴대폰 및 예비부품 98억달러 ▲목재 및 목제품 90억달러 ▲운송수단 및 부속품 32억7000만달러 ▲플라스틱제품 30억8000만달러 ▲수산물 18억3000만달러 ▲핸드백·지갑·가방·모자·우산 18억달러 순으로 수출액이 많았다.

특히 미국이 전체 산업 수출의 절반에 육박하는 섬유의류업이 큰 타격을 입을 거로 보인다. 비나텍스(Vinatex)와 마이10(May 10), TNG 등은 주요 섬유기업들은 미국 현지 구매력 감소로 인한 주문 감소와 생산비용 증가 등 피해가 불가피 하다. 업계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전쟁 예고에 수출시장 다각화 등 대책을 고심해왔으나, 막상 46% 고율 관세가 발표되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모습이다.

베트남에 진출한 글로벌 IT(정보통신) 기업들도 막대한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앞서 애플은 미국의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산망의 일부를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한 바 있다. 현재 베트남에는 폭스콘과 럭스쉐어(Luxshare), 페가트론(Pegatron) 등 애플 주요 협력업체가 생산기지를 세우고 제품 생산에 나서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웨드부시증권(Wedbush Securities)의 분석가 댄 아이브스(Dan Ives)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망을 옮기는 것은 더 이상 최적의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며 “관세가 본격 시행되면 애플을 비롯한 기술 기업들은 제조 전략을 재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그동안 공급망 탈중국화 수혜를 누려온 베트남이 매력적인 FDI(외국인직접투자) 지위를 잃어버린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른바 ‘선관세 후협상’ 기조를 분명히 밝힌 만큼, 베트남의 대응 역량이 그 어떤 때보다 주목되는 순간이다.

베트남 산업 전문가들은 대미 협상력을 끌어올려 특정 전략적 제품에 대한 관세 예외 또는 인하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동시에 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중동 등으로 수출을 늘리는 등 시장 다각화에 나설 것을 당국에 조언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국내 제조업에 대한 투자 유치는 베트남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해결책중 하나”라며 “국내 기업에 대한 재정·세무 정책적 지원은 미국의 관세 정책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민간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검토를 정부 당국에 권고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본 관세와 함께 개별 국가에 부과되는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함에 따라 대(對)미국 수출에 의존해 온 베트남의 주력 산업은 물론 경제 전반에도 큰 충격이 가해질 전망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모든 수입품에 기본 관세 10%를 부과하고, 한국(25%)과 베트남(46%) 등 지난해 대미 무역 흑자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60여개국에는 징벌적 성격의 개별 관세인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는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베트남에 부과되는 상호 관세는 캄보디아(49%)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외 주요국 중에서는 한국이 25%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인도 26%, 일본 24% 등이다.

동남아에서는 태국 36%,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필리핀 17%, 싱가포르 10% 관세가 각각 부과된다.

백악관 성명에 따르면 모든 국가에 부과되는 10% 보편 관세는 오는 5일, 무역 적자에 따라 개별 관세가 부과된 국가는 9일부터 새로운 관세 정책이 적용될 예정이다.

베트남으로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응할 시간이 불과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베트남 전체 수출의 약 30%를 차지한 최대 수출시장으로, 앞서 발표된 46% 관세율이 적용된다면 섬유와 신발, 가구, 전자부품과 수산물 등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 대부분이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베트남 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수출액은 전년대비 23.2% 증가한 1195억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29.5%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미 수출액 10억달러 이상 품목은 모두 15개로 ▲컴퓨터·전자제품 및 예비부품 232억달러 ▲기계·장비·기타부품류 220억달러 ▲섬유의류 162억달러 ▲휴대폰 및 예비부품 98억달러 ▲목재 및 목제품 90억달러 ▲운송수단 및 부속품 32억7000만달러 ▲플라스틱제품 30억8000만달러 ▲수산물 18억3000만달러 ▲핸드백·지갑·가방·모자·우산 18억달러 순으로 수출액이 많았다.

특히 미국이 전체 산업 수출의 절반에 육박하는 섬유의류업이 큰 타격을 입을 거로 보인다. 비나텍스(Vinatex)와 마이10(May 10), TNG 등은 주요 섬유기업들은 미국 현지 구매력 감소로 인한 주문 감소와 생산비용 증가 등 피해가 불가피 하다. 업계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전쟁 예고에 수출시장 다각화 등 대책을 고심해왔으나, 막상 46% 고율 관세가 발표되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모습이다.

베트남에 진출한 글로벌 IT(정보통신) 기업들도 막대한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앞서 애플은 미국의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산망의 일부를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한 바 있다. 현재 베트남에는 폭스콘과 럭스쉐어(Luxshare), 페가트론(Pegatron) 등 애플 주요 협력업체가 생산기지를 세우고 제품 생산에 나서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웨드부시증권(Wedbush Securities)의 분석가 댄 아이브스(Dan Ives)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망을 옮기는 것은 더 이상 최적의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며 “관세가 본격 시행되면 애플을 비롯한 기술 기업들은 제조 전략을 재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그동안 공급망 탈중국화 수혜를 누려온 베트남이 매력적인 FDI(외국인직접투자) 지위를 잃어버린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른바 ‘선관세 후협상’ 기조를 분명히 밝힌 만큼, 베트남의 대응 역량이 그 어떤 때보다 주목되는 순간이다.

베트남 산업 전문가들은 대미 협상력을 끌어올려 특정 전략적 제품에 대한 관세 예외 또는 인하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동시에 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중동 등으로 수출을 늘리는 등 시장 다각화에 나설 것을 당국에 조언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국내 제조업에 대한 투자 유치는 베트남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해결책중 하나”라며 “국내 기업에 대한 재정·세무 정책적 지원은 미국의 관세 정책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민간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검토를 정부 당국에 권고했다.

인사이드비나 2025.04.04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

Translate »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
Verified by Monster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