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9조여원 사상최대
삼성전자는 연결기준으로 매출 79.14조원, 영업이익 6.7조원의 1분기 실적을 30일 발표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보도했다.
매출은 전분기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사상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DX(Device eXperience)부문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와 고부가 가전제품 판매 확대로 28% 증가한 반면 DS(Device Solutions)부문은 HBM 판매 감소 등으로 1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DS부문의 실적 하락 속에서도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와 VD 및 가전사업의 고부가 제품 중심 판매 확대로 전분기대비 0.2조원 증가했다.
◆ DS부문 매출 25.1조원, 영업이익 1.1조원
메모리는 서버용 D램 판매가 확대되고 낸드 가격이 저점에 도달했다는 인식으로 추가적인 구매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영향으로 HBM(고대역폭메모리) 판매는 감소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SoC(System on Chip)를 공급하지 못했지만 고화소 이미지센서 등의 공급 확대로 실적은 소폭 개선되었다.
파운드리는 모바일 등 주요 응용처의 계절적 수요 약세와 고객사 재고 조정 및 가동률 정체로 실적이 부진했다.
MX(Mobile eXperience)는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으며, 부품가격 하락과 리소스 효율화를 통해 두자리수 수익성을 달성했다.
VD(Visual Display)는 Neo QLED, OLED 등 전략제품 판매 확대와 재료비 절감 등을 통해 전분기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생활가전은 고부가 가전제품 매출 비중 증가로 수익성이 향상됐다.
하만은 비수기 진입에 따른 실적 둔화에도 불구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개선해 성장세를 유지했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계절적 영향으로 전분기대비 실적이 하락했고 대형은 주요 고객의 QD-OLED 모니터 신제품 출시로 실적이 개선됐다.
◆ 2분기•하반기 전망…무역환경 악화, 실적예측 어려워
글로벌 무역 환경 악화와 경제성장 둔화 등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실적 예측이 어렵지만 성장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불확실성이 완화될 경우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모리는 HBM3E 12단 개선 제품의 초기 수요 대응과 서버용 고용량 DDR5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8세대 V낸드 전환 가속화로 원가경쟁력도 향상시킬 계획이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의 플래그십 제품에 SoC를 적용하고 글로벌시장에서 2억 화소 센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며, 파운드리는 2나노 2세대 공정 양산 안정화와 모바일 및 차량용 수요 대응으로 실적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MX는 2분기 비수기에 진입하면서 스마트폰 수요가 전분기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갤럭시 S25 엣지 등 플래그십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하반기 출시될 폴더블 신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AI 기능을 제품에 최적화해 더욱 차별화된 사용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VD는 신규 AI기능과 라인업을 대폭 강화한 AI TV 신모델을 글로벌 출시하고 QLED·OLED 및 초대형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하반기 성수기 수요를 선점할 예정이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 AI 신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를 늘리고 에어컨 성수기 판매 대응으로 매출 성장을 추진한다.
하만은 포터블 오디오, 헤드셋 등 소비자 오디오 제품 판매를 확대해 전년대비 매출 증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의 경우 대외 불확실성으로 실적은 다소 보수적으로 전망되지만 폴더블 등 신제품 공급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대형은 초고주사율 모니터 신제품 출시 등 게이밍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시장 전반의 부진한 흐름 속에서 약보합세를 보였다. 오전 11시20분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200원(0.36%) 내린 5만5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4만40만여주를 기록중이다.
인사이드비나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