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May 6,Monday

“중국 대체할 수출 시장 미국·인도·호주·베트남”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 등이 중국을 대체할 핵심 수출 시장으로 떠올랐다. 특히 한국 기업의 수출 품목이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아져 중국 외 시장으로 수출이 지속해서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조선비즈가 보도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대중국 수출 부진과 수출시장 다변화 추이 분석’ 보고서를 5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무역구조 변화로 한국 수출의 중국 의존도는 2021년부터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대(對)중국 수출은 4.4% 줄었으나, 중국 외 시장으로의 수출은 9.6% 증가했다. 올해 1분기까지도 중국 시장보다 중국 외 시장에서 한국 수출이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수출에서 중국 비중이 빠르게 축소된 품목은 ▲석유제품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2차전지 ▲플라스틱 제품 등이다. 석유제품의 중국 수출 의존도는 2021년 17.9%에서 올해 1분기 7.6%로 줄었다. 같은 기간 디스플레이도 중국 수출 의존도가 36%에서 26.1%로 감소했다.

또 한국의 올해 1분기 2차전지 수출 증가율이 중국에서 전년 동기 대비 -38.7%였던 반면, 미국에서 51.2%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석유화학 수출 증가율 역시 중국에서 -26.2%, 인도에서 4.5%였고, 석유제품 수출 증가율도 중국에서 -20.6%, 호주에서 38.3%로 나타났다.

user image

시장 비교 우위지수(MCA)가 상승한 품목 수는 미국(6개)과 인도(7개), 호주(6개), 베트남(6개) 시장이 중국(4개)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MCA 는 특정 품목에 대한 수출 시장에서의 비교 우위를 알려주는 지표다. MCA가 상승한 품목 수가 더 많다는 것은 앞으로 중국 외 시장으로 수출 다변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조의윤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 부진에도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해 수출 시장 다변화가 이미 진행 중”이라며 “기술력 향상을 위한 우리 기업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수출 시장 다변화에 장기적 관점에서 유리하다”고 했다.

조선비즈 2023.06.05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